세계청년대회와 같은 대규모 행사는 신앙의 결속을 강화하고 청년들에게 희망과 영감을 전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가톨릭 교회 내에서 계속해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성 학대 사건들과 그에 대한 부족한 대응을 고려할 때, 현재의 상황에서 이러한 행사를 개최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포르투갈 가톨릭 교회는 수십 년 동안 지속되어 온 성 학대 문제와 그에 대한 조직적 은폐로 인해 큰 신뢰의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50년부터 2020년까지 최소 4,815명의 피해자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피해자들은 어린 시절 성직자들로부터 학대를 받았으며, 교회는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가해자로 지목된 성직자들의 징계를 미루고, 배상 문제도 법적 판결을 기다리겠다며 소극적으로 대처해 왔습니다. 더불어 성 학대 피해자를 기리기 위해 세우기로 한 기념비조차 최근 백지화되면서, 교회가 문제 해결에 진정성을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규모 축제를 개최하는 것은 피해자들에게 또 다른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피해자들이 여전히 고통 속에서 교회의 책임 있는 행동을 요구하는 가운데, 신도들이 모여 신앙을 축하하는 모습은 피해자들에게 불편함과 상처를 줄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피해자 지지 단체들은 리스본 곳곳에 "포르투갈에서 4,800명이 넘는 어린이들이 가톨릭 교회에 의해 학대당했다"는 메시지를 담은 광고를 게시하며 이러한 문제를 환기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번 행사가 피해자들에게 얼마나 민감한 사안으로 다가올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더 나아가, 대규모 행사는 신앙 공동체의 결속을 강조하는 동시에 새로운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수많은 청년들과 성직자들이 교류하는 이러한 행사가 적절히 관리되지 않을 경우, 신뢰 관계를 악용한 새로운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습니다. 성 학대 문제의 핵심은 권력 남용과 구조적 은폐에 있는데, 대규모 행사는 그러한 문제를 노출시킬 위험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교회의 대응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에서, 이번 행사를 통해 청년들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아도 축제는 가능하다"는 잘못된 메시지를 받게 될 가능성도 우려됩니다. 이는 피해자뿐만 아니라 청년들의 신앙과 교회에 대한 기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금 교회가 해야 할 일은 축제의 형태로 과거의 아픔을 덮으려 하기보다는, 문제를 진정으로 직면하고 해결하려는 진솔한 노력을 보이는 것입니다. 피해자들에게 책임을 다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구조적 개혁을 실행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 없이 축제가 진행된다면, 피해자들에게는 또 다른 상처를 주는 것은 물론이고, 새로운 피해 발생의 가능성을 키울 수도 있습니다.